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민연금 부부 수급자 수의 증가와 이들의 수령액 상승, 부부연금 수령전략

사회,경제

by 민트 롤로 2025. 4. 7. 13:20

본문

728x90
반응형

출 처 : pixabay

 
 안녕하세요 민트롤로lifestyle입니다.


최근 국민연금 부부 수급자 수의 증가와 이들의 수령액 상승이 주목받고 있어요.

오늘은 국민연금 부부수급자 수의 증가에 대해서 포스팅 할게요~
 
부부 수급자 수의 증가 추이
1988년 국민연금 제도 도입 이후,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사례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말 기준으로 부부 수급자는 77만4,964쌍에 달하며, 이는 2019년 35만5,000쌍에서 약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증가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와 국민연금 가입률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부부 합산 연금 수령액의 상승
부부가 함께 받는 국민연금의 합산 금액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말 기준으로 부부 합산 최고 수령액은 월 530만5,600원이었으며, 이는 국제노동기구(ILO)가 권고하는 수준을 상회하는 금액입니다. 이러한 높은 수령액을 받는 부부는 장기간의 가입, 높은 소득 수준, 그리고 꾸준한 보험료 납부 등의 요인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부부 동시 가입의 중요성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하는 것은 노후 소득 보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각자가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어 안정적인 노후 생활이 가능하며, 이는 부부 합산 연금 수령액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부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해도 한 명만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오해는 사실이 아닙니다.
 
중복급여 조정 제도의 이해
부부가 각자 노령연금을 받다가 한 명이 사망하면, 남은 배우자는 자신의 노령연금과 사망한 배우자의 유족연금 중 유리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중복급여 조정 제도에 따른 것으로, 사회보험의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노후 생활비와 연금 수령액의 비교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생각하는 적정 노후 생활비는 부부 기준 월 296만9,000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러나 부부 합산 월평균 연금액은 2024년 11월 말 기준 108만1,668원으로, 여전히 적정 생활비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이는 많은 부부가 노후 대비를 위해 추가적인 준비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부부가 둘 다 국민연금에 가입하면 좋은 점


출 처 : pixabay

 

1. 노후 소득이 두 배로 안정적

  • 부부가 각각 연금을 받으면, 노후에 들어오는 소득이 2배로 늘어나죠.
  • 혼자만 받는 것보다 훨씬 안정적인 노후 생활이 가능해져요.

예) 남편 70만 원 + 아내 60만 원 = 월 130만 원 수령


2. 한쪽 사망 시 유족연금으로 일부 보전 가능

  • 배우자 한 명이 먼저 세상을 떠나도,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 본인 연금과 유족연금 중 더 유리한 쪽을 선택할 수 있어서 손해를 줄입니다.

3. 연금 수령 시점 선택 유리

  • 부부가 가입자라면 수령 시점을 각각 조정할 수 있어서, 재정 계획 세우기에 유연성이 있어요.

4. 노후 의료비와 생활비 부담 줄이기

  • 평균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노후 준비가 더 중요해졌죠.
  • 부부 모두 연금을 받으면 의료비, 주거비, 생활비 부담이 확 줄어요.

5. 세금 및 기초연금 중복 수혜 가능성

  •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더라도 기초연금이나 기타 복지 혜택을 소득구간에 따라 받을 수 있어요.
  • 세금도 일정 구간 내에서는 부담이 크지 않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6. 정서적 안정감

  • “우리 둘 다 연금 받아서 괜찮다”는 심리적 안정이 큽니다.
  • 부부가 함께 준비했다는 자부심도 크고, 노후 스트레스가 줄어들어요.

 

부부 국민연금 수령 전략

출 처 : pixabay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을 수령할 때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수령액을 더 늘리고, 노후생활도 안정적으로 계획할 수 있어요. 

1. 가입 기간 최대한 늘리기

  •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이 길수록 수령액이 많아져요.
  • 부부 모두 최소 10년 이상 가입해야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고, 20년 이상이면 수령액이 훨씬 유리해집니다.
  • 임의가입(전업주부도 가능) 제도를 활용하면 공백 없이 가입 가능!

팁: 은퇴 후에도 소득이 있거나, 60세 미만이면 임의가입으로 계속 납부 가능!


2. 수령 시기 조절 (연기 or 조기 수령)

  • 국민연금은 수령 시기를 늦추면(최대 70세까지 연기 가능) 연 7.2%씩 수령액이 증가해요.
  • 반대로 **조기 수령(최대 60세부터)**은 연금액이 줄지만, 생활비가 급할 경우 유용해요.

전략:

  • 한 사람은 연기 수령해서 높은 금액 확보
  • 다른 사람은 기본 수령해서 현금 흐름 유지

3. 소득대체율과 부부 합산 설계

  • 국민연금은 소득대체율이 일정 이상이면 기초연금 수급에 불리할 수 있어요.
  • 부부가 나눠서 적당한 수준으로 수령하면 기초연금까지 받을 가능성이 높아짐.

4. 유족연금 고려한 분산 설계

  • 부부 중 한 명이 먼저 사망 시, 남은 배우자는 본인 연금 or 유족연금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해요.
  • 따라서 두 사람 다 가입해서 ‘연금 수령권’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

5. 세금 및 건강보험료 부담 최적화

  • 국민연금 수령액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건강보험료 부담 증가 가능성도 있어요.
  • 부부 합산 소득을 분산하면 세금이나 건강보험료 측면에서도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팁: 국민연금공단 상담 서비스 활용

  • 국민연금공단에 방문하거나 전화하면 1:1 맞춤 연금 설계 상담을 받을 수 있어요.
  • *"부부 수령 전략으로 최적화된 플랜 부탁드립니다."*라고 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어요.

 
 
부부 수급자의 증가와 합산 연금 수령액의 상승은 국민연금 제도의 긍정적인 발전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부부가 적정 노후 생활비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 국민연금 가입 기간의 연장, 추가적인 노후 대비 수단의 활용 등이 필요합니다.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꾸준히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은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중요한 전략임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오늘도 민트롤로lifestyle의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이 되신다면 구독과 ❤️ 는 사랑입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