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번트증후군이란?

건강정보,요리

by 민트 롤로 2025. 3. 17. 10:08

본문

728x90
반응형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 분석

출 처 : 유튜브캡처 (이상한변호사우영우)

안녕하세요 민트롤로 lifestyle입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라는 드라마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 드라마는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우영우님이 변호사가 되어 사회의 편견에 맞서 잘 적응해가면서 스스로의 삶을 잘 개척해나가는 얘기입니다. 정말 재미있게 봐서 유튜브로 다시 보다가 자폐스펙트럼 서번트 증후군에 대해서 궁금해져서 알아보았어요.
오늘은 서번트 증후군에 대해서 포스팅 할게요~^^

1. 서번트 증후군이란?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은 일반적으로 지적 장애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사람이 특정 분야에서 비범한 능력을 보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프랑스어 "savant"는 "학자" 또는 "현자"를 뜻하며, 이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지능적으로 결함이 있어 보이지만 특정 영역에서는 천재적인 재능을 발휘합니다. 이러한 능력은 주로 음악, 미술, 계산, 기억, 언어 등의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번트 증후군은 비교적 드문 현상이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들 중 약 10%, 지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 중 약 1% 미만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증후군은 선천적일 수도 있고 후천적일 수도 있으며, 특정한 신경학적 원인으로 인해 나타난다고 보고됩니다.


2. 서번트 증후군의 주요 특징

서번트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능력을 보입니다.

1) 기억력(Memory)

서번트들은 일반적인 사람들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기억력을 보이는데 예를 들어, 한 번 본 책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수십 년 전에 있었던 특정한 날의 요일을 정확히 맞힐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경우가 있습니다.

예시:

출처: 네이버 (영화 레인맨 중)


킴 픽(Kim Peek): ‘레인 맨(Rain Man)’의 실제 모델이 된 인물로, 9,000권 이상의 책을 읽고 기억하는 능력을 가졌습니다.


2) 음악적 재능(Musical Talent)

음악 분야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서번트들이 많은데, 절대 음감을 가지고 있으며, 한 번 들은 음악을 그대로 연주하는 능력을 보입니다.

예시:

레슬리 렘케(Leslie Lemke): 선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지만 피아노를 스스로 익히고, 한 번 들은 곡을 완벽히 연주할 수 있었습니다.

3) 미술 및 조각(Art & Sculpture)

미술적인 감각이 뛰어난 서번트는 대상의 세부적인 요소를 정확하게 묘사하거나, 사진 한 장을 보고 이를 그대로 재현하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예시:

출처:유튜브캡처(스티븐)


스티븐 월트셔(Stephen Wiltshire): 한 번 본 풍경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세부적으로 그림으로 재현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4) 수학적 능력(Mathematical Calculation)

빠르고 정확한 계산 능력을 보이는 서번트들도 있고, 이들은 복잡한 수학 문제를 직관적으로 해결하거나, 초고속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예시:

다니엘 타메트(Daniel Tammet): 파이(π) 값을 22,514자리까지 외우고, 7개 언어를 단시간 내에 배운 서번트입니다..

5) 달력 계산(Calendar Calculation)

특정한 날짜에 대한 요일을 빠르게 맞추는 능력을 가진 서번트들이 있는데 예를 들어, 1850년 6월 15일이 무슨 요일인지 즉각적으로 답할 수 있습니다.

3. 서번트 증후군의 원인

서번트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 뇌 기능과의 연관성

서번트 증후군 환자의 뇌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우뇌 기능이 발달한 경우가 많았는데,  좌뇌 손상 후 우뇌가 보상적으로 발달하면서 특정한 능력이 강화된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2) 신경학적 보상 메커니즘

일부 연구자들은 서번트 증후군이 뇌 손상에 대한 **보상 작용(compensatory mechanism)**일 수 있다고 봅니다. 특정한 뇌 영역이 손상되면, 다른 부분이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극도로 발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3) 유전적 요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서번트 증후군이 유전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일부 가족 내에서 서번트적인 재능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4) 후천적 서번트 증후군

일반적으로 서번트 증후군은 선천적이지만,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뇌 손상이나 신경학적 사고 후에 갑자기 특정 능력이 발현되는 경우입니다.

예시:

출처:네이버(데릭아마토)

데릭 아마토(Derek Amato): 머리 부상을 입은 후 갑자기 피아노 연주 능력이 생겼습니다..

4. 서번트 증후군과 현대 과학

서번트 증후군은 인공지능, 뇌과학, 인지심리학 등의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1) 인공지능(AI)과 서번트 증후군

서번트들의 패턴 인식 능력과 연산 능력을 바탕으로, AI의 알고리즘 개발에 영감을 주고 있다. 특히, 기억력과 계산력 부분에서 AI의 학습 모델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2) 신경과학(Neuroscience) 연구

서번트들의 뇌를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기억력, 계산력, 창의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교육과 치료

서번트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인 교육 방식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나, 이들의 재능을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5. 서번트 증후군의 사회적 의미

서번트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지만, 특정 능력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의 사례는 인간의 두뇌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

서번트 증후군 사례는 장애를 단순히 결함이 아니라 특별한 능력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인간의 잠재력 연구

이들의 능력은 우리 뇌가 평소 사용하지 않는 능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데 기여합니다.

서번트 증후군은 인간의 뇌와 인지 능력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는 중요한 현상으로 이들은 일반적인 사람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인식하고, 특정 분야에서 놀라운 재능을 보입니다. 현대 과학은 이들의 능력을 분석하며, 인간의 두뇌가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고,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면 서번트 증후군의 원인과 작동 원리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포스팅을 마치며....
우리는 살면서 뇌의1%로도 쓰지 못한다고 하네요. 서번트증후군을 가진 분들은 의사소통에는 조금 어려움이 있지만, 그분들의 특정능력을 예전보다는 더 인정받고 그 능력을 더 키울수 있도록 사회적으로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로써 인간의 두뇌의 무한한 가능성에 기대를 해 봅니다.


오늘도 민트롤로 lifestyle의 티스토리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간의 두뇌에 무한한 가능성 한스푼~♡

또 만나요~^^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